2025/07/03 3

경남 밀양의 ‘얼음제’ 풍습, 겨울에도 제사를 지내는 이유

한겨울의 정적 속에서 얼어붙은 강 위에 모인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차디찬 바람을 맞으며, 두꺼운 얼음 위에 제단을 세우고 신에게 머리를 조아린다. 경상남도 밀양에서 전해 내려오는 ‘얼음제(氷祭)’는 바로 그런 풍경을 만들어낸다. 이 제사는 한겨울 강이나 저수지 위에서 이루어지는 독특한 마을 제의로, 일반적인 계절의 제사와 달리 혹한기, 자연이 가장 혹독해지는 시기에 열린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이러한 시기와 방식은 단순한 민속 신앙의 특이점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기 위한 오랜 지혜와 생존 전략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밀양의 얼음제는 외형적으로는 작고 조용한 마을 의식일지 모르지만, 그 안에는 인간이 자연 앞에서 느꼈던 두려움, 기원, 연대의식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얼음은 밀양 사람들에..

명절 풍습 2025.07.03

전남 해남의 ‘당제’, 마을을 지키는 신에게 바치는 제사

전라남도 해남은 한반도의 최남단, ‘땅끝마을’로 유명하지만, 진정한 해남의 정체성은 단순한 지리적 끝자락이라는 이미지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곳은 오랜 세월 동안 풍요로운 자연환경과 함께 사람, 신, 조상이 공존하는 전통이 살아 숨 쉬는 터전이다. 해남의 주민들은 물리적인 삶의 조건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세계와의 연결, 즉 신령들과 조상의 뜻을 중시해왔다. 이러한 신령과 인간의 공존을 가장 잘 보여주는 풍습이 바로 ‘당제(堂祭)’이다. 해남의 당제는 단순한 민속 신앙의 차원을 넘어선다. 이 제의는 공동체가 함께 모여 하나의 신념 아래 움직이는, 철저히 공동체 중심으로 운영되는 삶의 방식이자 정신문화의 한 형태다. 특히 해남에서는 세월이 흘러도 단절 없이 이어지는 전통성과, 형식적인 절차에 머물지 않는 진..

명절 풍습 2025.07.03

함경도 실향민의 그리운 고향을 향한 제사, ‘함경도 신년제’ 풍습

한국전쟁 이후 수많은 사람들이 가족과 집을 남겨두고 고향을 등졌다. 그리고 남으로 내려와 낯선 땅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함경도 출신의 실향민들은 북녘의 바람과 산, 바다를 가슴에 묻고, 그 기억을 간직한 채 남한 각지에 흩어져 정착했다. 이들에게 설날은 단순한 명절이 아니었다. 그것은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고향'을 마음속으로 부르는 날이자, 하늘과 조상, 고향의 산천에 간절한 마음을 전하는 영적 제사의 날이었다. 실향민들은 설날마다 그리운 고향을 떠올리며 ‘신년제’라는 특별한 제사를 지냈다. 이 신년제는 고향을 향한 정서를 고스란히 담아낸 영적 실천이었으며, 남쪽의 전통 설 제사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제사는 단순히 조상에 대한 공경을 넘어, 자신이 속했던 북방 문화에 ..

명절 풍습 2025.07.03